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로이론

(19)
#16. RLC 회로 (1) - 2차 미분방정식 풀기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인턱터와 커패시터에 대한 학습 후, 저항과 결합된 RL, RC 회로들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았다.  #15 기본적인 RL/RC 회로 - 시정수/시상수가 뭘까?이번 시간엔 기본적인 RL 회로, 즉 저항 R과 인덕터 L이 결합된 회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인덕터와 커패시터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13 인덕터(Inductor) - 자기장 저장enfj-electronics.tistory.com본 포스팅의 제목에서 유추할 수 있겠지만, 이번에는 세 가지 소자가 모두 사용된 회로를 분석해볼 것이다.저항 R, 인덕터 L, 커패시터 C의 결합인 RLC 회로는 어떤 형식일지 바로 살펴보자.병렬 RLC 회로 회로 이름에 충실하게 R, L, C가 모두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각 ..
#15 기본적인 RL/RC 회로 - 시정수/시상수가 뭘까? 이번 시간엔 기본적인 RL 회로, 즉 저항 R과 인덕터 L이 결합된 회로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인덕터와 커패시터에 대한 기본적인 내용은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자. #13 인덕터(Inductor) - 자기장 저장소본 포스팅에서는 저항, 커패시터에 이은 새로운 소자, 인덕터(Inductor)에 대해 소개하겠다.이전 커패시터 소개 포스팅을 읽고 온다면 연관된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커패시터(Capacienfj-electronics.tistory.com  #12. 커패시터(Capacitor) - 전하 저장소여지껏 회로해석의 기초가 되는 소자는 저항이었다.저항은 옴의 법칙에 의거하여 흐르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할당되어 에너지를 소모하는 소자였다면,오늘 살펴볼 커패시터는 에너지를 저장할enfj-..
#14 인덕터와 커패시터의 직렬/병렬 연결 - 과연 저항과 같을까? 앞서 포스팅한 새로운 수동 소자 인덕터, 커패시터를 제대로 이해했는가?이번 시간에는 이들의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에 대해 살펴볼 예정이다.기존에는 저항만을 가지고 각 연결 별로 등가저항을 구해봤지만, 기억이 안 난다면 잠시 되새김질을 하고 오자. #4.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 - 릴레이와 트랙중고등학교 때 간단하게나마 직렬 연결과 병렬 연결을 접해보았을 이가 많을 것이다. 배터리를 병렬 연결할 경우 전구가 오래가고~ 직렬 연결을 하면 전구의 빛이 밝아진다나 뭐라나~ 오늘은 직enfj-electronics.tistory.com 이전에도 말한 내용이지만, 아래 내용은 꼭 기억하자. 병렬 연결은 같은 노드에 연결되어 같은 전압을 공유한다.직렬 연결은 브랜치가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같은 전류를 공유한다. 기본적인..
#2. 회로기호 / 노드와 브랜치 (Node & Branch) - 회로의 척추 회로에 대한 본격적으로 알아보기 전 노드(Node)와 브랜치(Branch)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한다. 이에 앞서 기본적인 회로 기호들에 대해 알아보자.회로 기호우리에게 흔히 '회로'라고 치부되는 초록색 기판(PC나 전자제품 속에 들어있는 것)들은 회로도를 물리적으로 구현한 것인데, 그 설계도가 회로도이다.복잡하게 작성된 회로도를 보면 살짝 어지럽다. 뭐가 이리 많이 엮여있는지..스키메틱(Schematic)이라고도 불리는 회로도는 실물로 구현하기 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약속된 표기법에 의거하여 작성된다.기본적인 것들만 살펴보자. 전압원기호의 위/아래에 특정 전압을 할당하는 놈이다. 기호를 살펴보면 원 내부 상단에는 (+), 하단에는 (-)로 표시되어 있는데, 아래쪽 대비 위쪽의 전기적 위치에너지(전..
#1. 회로이론 3분 만에 입문하기 - 전하 / 전류 / 전압 / 저항 / 옴의 법칙 막 회로이론을 접한 입문자들에게 전기와 전자에 대한 내용은 낯설 수 밖에 없다.앞으로 서술할 내용들에 관한 기초적인 지식을 설명한 후 포스팅을 이어나가 보겠다.나는 친절하니까 !전하 (Charge)앞으로 설명할 모든 전기/전자 현상들을 발생시키는 근원이며,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양(+) 전하와 음(-) 전하로 나뉘어져 있으며, 이 전하들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기의 흐름(전류)이 발생한다고 생각하면 된다.얼마 만큼의 전하가 존재하는지 나타내기 위해 쿨롱(기호 : Q, 단위 : C, 사람 이름에서 따왔다.)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양적인 표현을 쓸 땐 '전하량' 이라고 부른다.이때, 1 쿨롱은 전자 6.24 × 10^18 개가 지니고 있는 전하량을 일컫는다. + 전하와 전자가 헷갈리는 이들을 위해 간단히 비..
#13 인덕터(Inductor) - 자기장 저장소 본 포스팅에서는 저항, 커패시터에 이은 새로운 소자, 인덕터(Inductor)에 대해 소개하겠다.이전 커패시터 소개 포스팅을 읽고 온다면 연관된 내용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 커패시터(Capacitor) - 전하 저장소여지껏 회로해석의 기초가 되는 소자는 저항이었다. 저항은 옴의 법칙에 의거하여 흐르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할당되어 에너지를 소모하는 소자였다면, 오늘 살펴볼 커패시터는 에너지를 저장enfj-electronics.tistory.com 각설하고 살펴보자.인덕터(Inductor)의 구조와 원리인덕터는 리액터 또는 코일로도 불리운다.전선을 돌돌말아 만든 코일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다.커패시터와 마찬가지로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소자인데, 그 매커니즘을 알아보자. 고등 물리를 이수한 ..
#12. 커패시터(Capacitor) - 전하 저장소 여지껏 회로해석의 기초가 되는 소자는 저항이었다.저항은 옴의 법칙에 의거하여 흐르는 전류에 따른 전압이 할당되어 에너지를 소모하는 소자였다면,오늘 살펴볼 커패시터는 에너지를 저장할 수 있는 소자라고 소개해보겠다. 본격적으로 살펴보자.커패시터 (Capacitor)의 구조와 원리한국에서는 축전기, 콘덴서라고도 불리우지만, 올바른 표현은 커패시터(Capacitor) !줄여서 캡(Cap)이라고 한다.커패시터는 전하를 저장할 수 있는 소자인데, 그 매커니즘부터 알아보자. 간단한 커패시터는 금속판 2개와 그 사이에 유전체(또는 절연체)를 삽입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다.두 금속판 사이에 연결된 도선을 통해 위쪽에서 전류가 흘러 들어올 경우, 그와 반대 반향으로 전자가 이동하게 된다.다만 부도체 또는 유전체에 의해 두..
#11. 전력과 전력량 - 파워(Power)와 에너지(Energy) 여러분은 파워와 에너지를 구분할 수 있는가? 실생활에서 전력이라는 개념은 아래와 같은 케이스에서 흔히 접할 수 있다. 1. 도시락을 데울 때 700와트짜리 전자레인지에서는 2분을 돌리고 1000와트에서는 1분 30초를 돌리라나 뭐라나.2. 전기요금표를 보면 몇백 킬로와트를 써서 누진세를 내게 생겼네 어쩌네. 방금 말한 두 사례 중, 하나는 표현이 잘못되었다.사람들이 흔히 착각하는 개념인 전력과 전력량에 대한 구분이 이루어지지 않아서이다. 딱 3분만 나에게 달라. 전력과 전력량에 대해 확실히 구분시켜주겠다. 전력 (Power)전력이란 시간당 에너지 소비량을 뜻하며 와트(Watt, W)라는 단위를 사용한다.여기까지는 고교 물리학 내용에서도 알 수 있는 내용이지만, 전력의 전기적 의미에 대해 조금 더 살펴보도..

반응형